본문 바로가기

[Python] 연산자(Operator) 할당 연산 : 대입 연산 : 배정 연산:= x = 1 #x에 1 할당 x = 1 + 2 #x에 연산 결과 할당 x = y = 3 #x, y 에 3 할당 x, y, z= 1, 3, 5 #동시에 여러 변수에 값을 할당 산술 연산 연산자 기호 예시 덧셈 + 8+5=13 뺄셈 - 8-5=3 곱셉 * 8*5=40 정수 나눗셈 // 8//5=1 실수 나눗셈 / 8/5=1.6 나머지 % 8%5=3 복합 연산(compound operator)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 수 있다 x+=1 x=x+1 x-=1 x=x-1 x*=3 x=x*3 x/=3 x=x/3 x%=3 x=x%3 이렇게 계산한 후 대입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x=2 x*=3+1 # x*=(3+1) 와 같은 의미이다
[Python] 지수 연산자, 10의 거듭제곱 나타내기 지수 계산 # 밑8 지수 3 (8의 세제곱) x=8**3 y=2**3**4 # y = 2**(3**4) 10의 거듭제곱 특히 10의 거듭제곱은 많이 써서 E를 사용해서 나타낼 수 있다. # 2 * 10000 x = 2E4 print(x) 밑E지수 이렇게 적으면 된다 10의 지수 부분을 E뒤에 적는 것이다. 대문자가 아닌 소문자 e도 상관없다. 알아볼 수 없는 숫자 표현 해석 가끔 파이썬 연산 결과가 특이하게 표현되는데 이건 파이썬에서 부동 소수점을 지수승으로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어 0.234e2 는 23.4로 해석하면 되고, 0.234e-2면 0.00234로 해석하면 된다
[Python] 파이썬의 문장 끝에 세미콜론(;)을 찍어야할까? 필요없다 하지만 사용하면 한 줄에 여러 문장을 쓸 수 있다. x=100;y=200;result=x+y;print(result);
[Python] 변수 변수 : Variable 어떤 타입의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다. 정수, 실수, 문자열 가능 변수에 저장되는 것은 객체의 주소이다 # 변수의 주소 알아내는 함수 id() x=100 y=x print(id(x)) print(id(y)) 변수 정의 #변수이름 = 값 x = 100 주의할 것은 =이 같다는 것이 아니라 대입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의미 있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변수 규칙 첫 글자는 언더바(_) 혹은 영문자로 시작 _가 앞에 붙으면 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변수라는 의미도 있다 기호사용 불가 공백 불가 소문자와 대문자는 다르게 취급 예약어 불가 상수 상수라는 특징이 하나 더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들 코드를 짤 때 상수는 이렇게 표기한다 PI=3.14 r=3 area= PI * 3*3​ 코..
[Python] Guardian Pattern(가디언 패턴) 가디언 패턴은 예외처리가 날 것 같은 부분을 단락 평가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다 단락평가를 요약하자면 or 의 왼쪽 조건이 True이거나 and의 왼쪽 조건이 False이면 오른쪽 조건을 확인 하지 않고 바로 연산을 처리하는 것이다 이것을 이용해서 오른쪽 조건은 왼쪽조건이 충족해야지만 에러가 나지 않는 코드에 적용하면 된다 예시 코드이다 내용은 텍스트에서 From으로 시작하는 문장의 3번째 단어인 요일을 출력하는 것이다 file = open('mbox-short.txt') for line in file: line = line.rstrip() words = line.split() if len(words) < 3 or words[0] != 'From' : continue print(words[2]) 텍스..
[Python] Short Circuiting / Short Circuit Evaluation(단축평가, 단락평가) 단축평가는 빠르게 검사하기 위해 첫 번째 조건에서 이미 걸러질 것이라면 두 번째 조건을 보지 않는 것이다 어떻게 이렇게 되냐면 (첫 번째 조건) 연산자 (두 번째 조건) ex) x-1 이라고 생각하면 python은 왼쪽 -> 오른쪽으로 연산을 하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밑의 표를 보면 X(첫 번째 조건, 왼쪽 조건) Y(두 번째 조건, 오른쪽 조건) OR AND 1 1 1 1 1 0 1 0 0 1 1 0 0 0 0 0 or 은 Y에 상관업이 X가 1(True)이면 무조건 결과가 True이다 그래서 X만 1이면 Y에 뭐가 오던지 읽지않고 바로 True가 된다 마찬가지로, and는 X가 0(False)이면 Y에 상관없이 결과가 False가 된다. 밑을 참고해도 된다 단락 평가 - IT위키 itwik..
[Python] 리스트 생성/만드는 방법 new_list=[] 생성자 new_list=list() 두 방법 모두 print(new_list) print(type(new_list)) [] 로 출력 됩니다.
[Python] 해당 타입의 자료에 들어있는 메소드 알아내기 int면 int, string이면 string 같은 타입은 이미 내장되어 있는 메소드가 있다 그게 어떤 것들이 있는지 메소드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file=open("textfile.txt", 'r') print(type(file)) print(dir(file)) Out ['_CHUNK_SIZE', '__class__', '__del__', '__delattr__', '__dict__', '__dir__', '__doc__', '__enter__', '__eq__', '__exit__', '__format__', '__ge__', '__getattribute__', '__gt__', '__hash__', '__init__', '__init_subclass__', '__iter__', '__le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