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스트캠프 AI Tech 3기/이론 : U-stage

[Day74] Github 특강 2-1 CLI로 로컬 저장소를 사용하기

1. 폴더 만들기

 

2. 파일 만들기

3. Init

터미널을 열고

git init

으로 레포지토리를 초기화 해준다.

GUI↓

더보기

GUI 로는 이렇게 해줄 수 있다.

를 해주는 것과 같은 과정이다.

4. Add

git status

로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add 전 git status

수정한 파일이 보인다.

git add <파일이름>

를 하면 아무 반응이 없다. 그게 맞다

git add .

이 명령어는 현재 폴더의 모든 파일을 add 한다

. 를 습관으로 들이면 좋지 않다. 모든 파일 중에 넣지 말아야 할 것도 있기 때문이다.

 

다시 git status를 해서 add가 잘 되었는지 확인한다

add 후 git status

4-2 .gitignore

항상 add에서 제외 

이 프로젝트에서 차원에서의 정책(policy) 파일(project wide). 팀원들도 똑같이 안 쓰게 된다.

 

https://www.toptal.com/developers/gitignore

 

gitignore.io

Create useful .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

www.toptal.com

이렇게 제외된 config 같은 파일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면 

내용을 제외한 형식만 적어서 commit하면 할 수 있다.

 

4-3 exclude

모든 사람이 이 파일을 제외하게 하는 정책을 만들지 않고, 나에게만 내 폴더에만 적용되게 할 수도 있다.

5. Commit

 

git commit -m "commit message"

git commit -a "commite message" # auto add : 모든 파일을 알아서 add 후 commit
# auto add는 tracked하는 file만 추가해주고, untracked파일은 add하지 않음

git commit -am "commit messeage" # -a -m을 합쳐서 한 번에 쓸 수 있다

커밋 메세지를 적을 때에는 ''가 아니라 "" 로 해줘야

이런 에러가 뜨지 않는다.

6. Remote 연결

HTTPS로 copy

git remote add <https 주소>

로 원격저장소와 연결한다.